관리 메뉴

KorSA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17, 18) 방어 작용 본문

Science/Biology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17, 18) 방어 작용

Praiv. 2023. 5. 19. 23:43
320x100

 

이 글은 EBSi 박소현 선생님의 강의
 [2024 수능개념] 완벽한 수능 준비!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17, 18강을 수강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 질병
    • 감염성 질병
      •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체에 의해 나타나는 질병. 전염 O
      • 감기, 독감, 홍역, 결핵 등
    • 비감염성 질병
      • 병원체 없이 나타나는 질병. 전염 X
      • 고혈압, 당뇨병, 낫모양 적혈구 빈혈증(유전병), 헌팅턴 무도병(유전병) 등
  • 병원체
    • 세균(박테리아)
      • 핵이 없는 단세포 원핵생물 (세균도 엄연한 생물!)
      • 결핵, 세균성 폐렴, 탄저병 등
      • 항생제로 치료 : 진핵 생물에는 없고 원핵 생물에만 있는 특징 이용
    • 바이러스
      • 생물적 특성
        • 핵산(DNA, RNA - 유전물질)과 단백질 껍질로 구성
        • (숙주 세포 내에서) 물질대사와 증식이 일어남
        • 유전 현상과 돌연변이(적응과 진화)가 나타남
      • 비생물적 특성
        • 비세포 구조(세포막 X)
        • 숙주 세포가 없으면 생명 활동 불가 (숙주가 없으면 바이러스는 먼지에 불과)
        • 항바이러스제로 치료
    • 원생생물과 곰팡이
      •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병원체 (인간도 진핵이라 원핵에 비해 특정하여 공격하기 어려움)
      • 원생생물에 의한 질병
        • 대부분 열대 지역에서 매개 곤충(모기 등)에 의해 발생
        • 말라리아(모기), 수면병(파리) 등
      • 곰팡이에 의한 질병
        • 항진균제(진균 = 진핵 + 세균)로 치료
        • 무좀 등
  • 우리 몸의 방어 작용
    • 비특이적 방어 작용(선천성 면역)
      • 일단 내꺼 아닌건 다 막는 전략
      • 피부
        • 화학 물질, 미생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물리적 장벽
        • 피부의 산성 성분은 세균 증식 저해
      • 점막
        • 피부로 덮이지 않은 부위의 상피 세포층
        • 점액으로 덮여 보호
        • 점액에 세균 세포벽을 분해하는 라이소자임이 들어있어 감염을 막음
      • 분비액
        • 침, 땀, 눈물 속에 라이소자임(세균 세포벽 분해)이 들어있음
        • 식세포 작용(식균 작용)
        • 백혈구는 체내로 침투한 병원체를 세포 내에서 분해
      • 염증 반응
        • 피부나 점막이 손상되어 병원체가 체내로 침입할 때 열, 부어오름,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현상
        •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한 방어 작용
    • 특이적 방어 작용
      • 특정 항원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전략
      • T림프구와 B림프구에 의해 이루어짐
      • 림프구: 백혈구의 일종
      • B림프구: 골수에서 생성되어 골수에서 분화 완성, 형질 세포 또는 기억 세포로 분화
      • T림프구: 골수에서 생성되어 가슴샘으로 이동 및 분화 완성, 보조 T림프구 또는 세포 독성 T림프구로 분화
      • 항원: 체내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물질
      • 항체: '형질 세포'가 분비하는 면역 단백질. 항원과 결합해 무력화시킴
      • 특정 항체는 특정 항원에만 결합
      • 특이적 방어 작용은 보조 T림프구의 활성으로부터 시작
      • 세포성 면역
        • 활성화된 세포 독성 T림프구가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면역 반응
        • 과정: 대식 세포가 병원체를 삼긴 후 분해하여 항원을 제시 -> 보조 T림프구가 이를 인식하여 활성화 -> 세포독성 T림프구 활성화 ->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 등을 직접 공격하여 파괴
      • 체액성 면역
        • 형질 세포가 생산하는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여 효율적으로 항원을 제거하는 면역반응
        • 1차 면역 반응: 항원의 1차 침입 시 보조 T림프구의 도움을 받은 B림프구는 기억 세포와 형질 세포로 분화된 후 형질 세포가 항체 생산
        • 2차 면역 반응: 동일 항원이 재침입 시 그 항원에 대한 기억 세포가 다시 분화되어기억 세포와 형질 세포를 만들며 형질 세포가 항체를 생산, 더 빠른 속도로 면역 반응이 일어남
  • ABO식 혈액형
    • 혈액형 구분: 적혈구 표면에 있는 응집원의 종류에 따라 A, B, AB, O형으로 구분
    • 응집원 A는 응집소 𝛂와 응집하고, 응집원 B는 응집소 𝛃와 응집
    • B형에게 A형 혈액을 주면 안되는 이유는 B형 사람 몸 속에 있는 응집소 𝛂와 응집원 A가 응집하여 혈액이 응고되기 때문. 혈관을 막기 때문에 위험!!
    • O형은 응집소 𝛂와 𝛃 모두 가지고 있음
    • AB형은 응집소 𝛂와 𝛃 모두 없음

 

 

 

728x90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