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KorSA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20, 21) 유전 정보와 염색체 본문

Science/Biology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20, 21) 유전 정보와 염색체

Praiv. 2023. 8. 15. 13:17
320x100

 

이 글은 EBSi 박소현 선생님의 강의
 [2024 수능개념] 완벽한 수능 준비!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20, 21강을 수강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1. 염색체, DNA, 유전자, 유전체

  • 염색체: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끈이나 막대 모양의 구조물 (DNA + 단백질)
  • DNA: 유전물질.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분자이며 2중 나선 구조를 이룸
  • 히스톤(단백질): DNA 형태 정리를 돕는 단백질
  • 뉴클레오솜: 염색체를 이루는 기본 구조. 히스톤 단백질을 DNA가 감고 있는 구조
  • 유전자: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의 특정 부분
  • 유전체(게놈): 한 생명체가 가진 모든 DNA의 유전 정보

* 간기(일상생활) 때에는 염색사 형태로 존재하다가 분열기(이사할 시기)가 되면 염색체의 형태로 바뀐다.

* 뉴클레오솜은 간기든 분열기든 모두 존재한다.

* 이해에 도움되는 영상> DNA란 무엇인가?

 

2. 염색체의 종류

  • 상염색체: 성 결정과 관련 없는 염색체. 암수 공통.
  • 성염색체: 성 결정에 관여하는 염색체. 암수 구성 다름. (X, Y 의 모양과 크기 다름)

 

3. 상동 염색체, 염색 분체, 대립유전자

  • 상동 염색체: 모양과 크기가 같아 쌍을 이루는 염색체. 하나는 모계, 하나는 부계.
  • 염색 분체: 간기(일상생활) 때 복제된 DNA 가닥이 각각 응축되어 형성된 것. 두 가닥은 동원체에서 붙어있으며, 유전 정보 동일.
  • 대립  유전자: 상동 염색체의 같은 위치에 존재하며 같은 형질을 결정하는데 관여하는 한 쌍의 유전자.

  • 동형 접합성: 대립 유전자 구성이 같은 것
  • 이형 접합성: 대립유전자의 유전자 구성이 다른 것

 

4.핵형과 색상

  • 핵형: 염색체의 수, 모양, 크기와 같은 염색체의 형태적 특징
  • 같은 종, 같은 성별이면 체세포의 핵형이 같음
  • 종이 다르면 핵형도 달라짐. 즉, 핵형은 생물종 고유의 특성
  • 핵상: 염색체의 구성 상태
  • 각각의 염색체가 쌍으로 존재하면 2n, 상동 염색체가 분리되어 쌍을 이루지 않는 경우 n.
  • 2n은 보통 체세포, n은 보통 생식세포
  • 생식세포는 엄빠가 준 2n 중 랜덤으로 n개만 골라간다.

 

5. 사람의 염색체

  • 상염색체: 44개(22쌍)의 상염색체(1번 ~ 22번 염색체)가 남녀 공통으로 존재
  • 성염색체: 남자는 XY, 여자는 XX의 조성을 이룸
  • 사람의 체세포: 상염색체 44개(22쌍) + 성염색체 2개(1쌍), 총 46개(23쌍)의 염색체가 존재
  • 사람의 생식세포: 상염색체 22개 + 성염색체 1개, 총 23개의 염색체가 존재
  • 정자: 22개의 상염색체 + X 또는 Y
  • 난자: 22개의 상염색체 + X
  • 자녀의 성별은 수정되는 정자에 있는 성염색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728x90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