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KorSA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23, 24) 감수분열 본문

Science/Biology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23, 24) 감수분열

Praiv. 2023. 8. 17. 05:00
320x100

 

이 글은 EBSi 박소현 선생님의 강의
 [2024 수능개념] 완벽한 수능 준비!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23, 24강을 수강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1. 감수 1분열

상동 염색체가 분리되어 염색체 수가 반감, 핵상 변화 (2n -> n)

1)전기

핵막이 사라짐

염색사가 염색체로 응축

방추사 형성

상동 염색체끼리 접합하여 2가 염색체 형성

2) 중기

2가 염색체가 세포 중앙에 배열. 두 줄 서기.

3) 후기

동원체에 붙은 방추사가 짧아지면서 상동 염색체가 분리되어 세포의 양극으로 이동

4) 말기

세포질 분열이 시작됨

감수 1분열

 

2. 감수 2분열

1) 전기: 방추사가 염색체에 부착됨

2) 중기: 염색체가 세포 중앙(적도판)에 배열. 한 줄 서기.

3) 후기: 동원체에 붙은 방추사가 짧아지면서 염색 분체가 분리되어 세포의 양극으로 이동.

4) 말기: 핵막이 나타나고 방추사가 사라지며 세포질 분열이 일어남.

감수 2분열

 

 

3. 감수 분열 정리

연속 2회 분열, 1개의 모세포 -> 4개의 딸세포

딸세포의 염색체 수와 DNA양은 모세포(G1기)의 절반

감수 1분열 전기에 상동 염색체끼리 접합한 2가 염색체가 형성됨

체세포 분열, 감수 분열 시 DNA 양 변화

 

4. 감수 분열의 의의와 유전적 다양성

1) 종의 염색체 수 유지: 체세포 그대로 쓰면 자손 낳을 때마다 염색체 수가 2배씩 증가함.

2) 감수 분열 및 생식 과정에서의 유전적 다양성 증가

한 사람이 만들 수 있는 생식 세포 경우의 수 : 2^23 = 약 800만 가지 (사람의 유전체가 23쌍이어서)

남녀의 생식세포가 수정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2^46 = 약 70조 가지

감수분열은 수정 후 핵상이 유지됨

728x90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