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03) 썸네일형 리스트형 Navigator 객체 (Section 9) 참고> opentutorials.org/course/1375/6650 1. Navigator 객체: 브라우저의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 => 주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 2. Cross browsing 이슈: 브라우저마다 동작을 다르게 하는 현상 => 이거땜에 웹 표준이 나옴 (같은 기능이면 같은 이름 좀 쓰자..) => 웹 표준이 적용 잘 안된 오래된 브라우저들은 Navigator 객체로 브라우저 정보를 얻어와야 함 3. 기능테스트 => 모든 브라우저에 일일이 대응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기능 테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선호되는 방법 => 브라우저에서 기능을 제공하는지 먼저 확인해보고, 만약 없다면 직접 정의해주고 사용하는 방법 Location 객체 (Section 8) 참고> opentutorials.org/course/1375/6634 1. Location 객체: 문서의 주소를 알려주는 객체 => 주소창에 쓰이는 URL을 알아낼 수 있는 객체 => URL을 변경할수도 있음 => location.href => location.reload()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Section 7) 참고> opentutorials.org/course/1375/6632 1. alert: 경고창 =>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디버깅 용도로 많이 씀 2. confirm: 확인창 => 확인을 누르면 true, 취소를 누르면 false 3. prompt: 사용자에게 입력받는 창 전역객체 window (Section 6) 참고> opentutorials.org/course/1375/6633 1. window 객체 : 모든 객체가 소속된 객체 2. 전역 변수를 만든다는 것은 결국 window 전역 객체의 property를 만드는 것이다. 3. 전역 함수를 만든다는 것은 결국 window 전역 객체의 method를 만드는 것이다. TransparentBlt (Section 79) 1. Bitmap 출력 시 원하는 배경색을 제거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특정 색상을 제거하고 출력할 수 있는 TrasnparentBl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음. 2. TransparentBlt 를 사용하려면 msimg32.lib 라이브러리를 자신의 프로젝트에 [ #prapramga comment (lib, "Msimg32.lib" ] 으로 추가하면 됨. Resource에 Bitmap 넣고 사용하기 (Section 78) 참고> blog.naver.com/tipsware/221155042841 1. 사용자에게 실행 파일 하나로만 프로그램을 전달할 필요가 있고 그렇게 하고 싶을 땐 프로그램에 필요한 이미지들을 모두 Resource에 포함시켜서 사용 2. Resource 파일에 추가된 이미지들은 프로그램이 빌드되면 모두 실행 파일에 포함됨. 3. Resource에 추가된 Bitmap은 LoadImage() 함수로 간단하게 Bitmap 객체로 만들 수 있음 Windows와 Zip 파일 (Section 75) 참고> blog.naver.com/tipsware/221150318278 1. Windows는 기본적으로 Zip 압축 관련 기능을 제공함. 즉, 응용 프로그램에서 COM을 사용하면 Windows 탐색기와 동일하게 Zip 파일을 사용할 수 있음. => ShlDisp.h 헤더파일을 include 해야 함. (ShlDisp.h는 Shell 관련 COM 객체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헤더파일) 2. CoCreateInstance() 함수를 사용하려면 CoInitializeEx() 함수를 먼저 호출하여 COM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함. -> CoInitializeEx(NULL, COINIT_APARTMENTTHREADED); 3. IShellDispatch 객체로 Zip 경로를 설정할 때에는 반드시 절대 경로로.. 파일 크기 얻기 (Section 74) 참고> blog.naver.com/tipsware/221150263616 1. FindFirstFile 함수: 운영체제의 파일 테이블에서 파일의 상태 값을 가져오기 때문에 "다른 프로그램이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어도" 잘 동작함. => WIN32_FIND_DATA 구조체의 file_info.nFileSizeLow의 값이 파일 크기. => 만일 파일 크기가 4GB 이상이라면 file_info.nFileSizeHigh 도 같이 읽어야함.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