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02) 썸네일형 리스트형 Rust Cross Compile Rust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하나의 코드로 여러 OS의 실행 파일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이 글에서는 Ubuntu 에서 빌드한 실행 파일을 Ubuntu와 CentOS, Windows에서 사용했던 과정을 정리한다.나는 Windows PC를 Main Build Machine으로 사용중이어서 WSL을 설치했는데,Ubuntu OS에서 바로 빌드하고 싶다면 2번 과정부터 진행하면 된다. 1. [Windows] Powershell에서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설치-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아래 명령을 입력한다.wsl --install 2. [Ubuntu] rustup 설치- 아래 명령으로 rustup을 설치한다. (Windows의 경우 WSL에 .. 오프라인 환경에서 Rust 빌드하기 (f. Windows, Linux, Unix) 보통 회사에서는 개발에 필요한 패키지들을 자유롭게 다운로드 받으면서 환경을 세팅할 수 있다.하지만 군 사업이나 일부 회사에 납품하는 제품일 경우 지정된 곳의 폐쇄망에서 개발을 진행해야 한다.이 경우 인터넷을 아예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개발에 필요한 패키지들은 미리 준비해서 들어가야 한다.이 글은 여러 OS (Windows, Ubuntu, CentOS, FreeBSD, Solaris) 오프라인 환경에서 Rust 개발환경을 세팅했던 경험을 기록하고자 한다. 1. Rust 설치Rust는 지원 OS의 Tier를 나누고 있다. Windows, Linux (Ubuntu, CentOS) 는 Tier 1 이기 때문에 rust 설치 툴을 공식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반면 Unix인 FreeBSD 와 Solaris는 Ti.. Windows Defender 비활성화 회사 업무 중 rust로 프로그램을 빌드할 때 실행 파일을 내장하는 과정이 있다.어느 순간 빌드 속도가 엄청 느려지더니 메모리가 Full 나서 버벅이는 현상이 나왔다.작업관리자를 통해 보니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프로세스와 "Secure System" 프로세스가 상단에 있어서 의심스러웠다."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은 속성을 살펴보니 Microsoft Defender 제품이었고,Defender가 실행 파일을 악성으로 간주하거나 검사를 하려고 하면 rust 프로그램 빌드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었다.그래서 Microsoft Defender를 꺼보고 빌드를 다시 해보았더니 버벅이는 증상 없이 rust 빌드가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었다.(근데.. windows cmd에서 네트워크 활성화/비활성화 windows 10, 11 에서 네트워크 활성화/비활성화 하는 방법으로 GUI 를 활용하는 방법과 CLI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GUI는 "시작>설정>..." 이렇게 마우스로 클릭 클릭 하면서 들어가야 되는데 귀찮아..cmd 창에서 키보드로 네트워크 상태를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다. 1. cmd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현재 네트워크 어댑터 확인netsh interface show interface 3. 특정 네트워크 내리기 (비활성화)netsh interface set interface "이더넷" admin=disabled"이더넷" 상태가 "연결됨" -> "연결 끊김" 으로 바뀌었다.(덕분에 나도 글쓰다가 tistory 접속이 끊어짐..) 4. 특정 네트워크 올리기 (활성화)netsh .. CentOS 8.2 Repo 설정 CentOS 8 은 2021년을 끝으로 EOL (End Of Lifetime) 상태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vault 를 바라보도록 repo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안그러면 기존의 repo 는 404 리턴하고 우리는 package 다운로드 못받음... 아래는 "/etc/yum.repos.d/centos-vault.repo" 경로로 생성한 vault repo 파일이다.[centos-vault-baseos]name=CentOS Vault - BaseOS 8.2.2004baseurl=http://vault.centos.org/8.2.2004/BaseOS/$basearch/os/gpgcheck=1gpgkey=https://www.centos.org/keys/RPM-GPG-KEY-CentOS-Officialenabl.. [Solaris] SSH 접속 허용 설정 회사 업무 때문에 시작한 Solaris 11..실환경에서는 root 접속 권한을 주는 데 조심해야하지만, 나는 개발환경이기 때문에 그냥 root ssh 접속을 허용해주고 작업한다.나의 모든 고통의 원인이 되어가고 있는 이 친구의 root ssh 접속을 허용해주려면 아래와 같은 설정을 해야 한다.(Solaris CBE 11.4 기준) 1. 아래 명령으로 SSH 설정 파일 열기 > sudo vi /etc/ssh/sshd_config 2. PermitRootLogin 주석을 해제하여 아래와 같이 변경 > PermitRootLogin yes 3. PasswordAuthentication 주석을 해제하여 아래와 같이 변경 > PasswordAuthentication yes 4. Port 주석을.. CentOS 7 Test VM Setup 1. CentOS 7 지원종료(24.06 CentOS 7 EOL) 로 인한 repo 설정 변경"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요런 에러가 뜨면서 yum install net-tools 가 안되는 현상 해결https://javaju.tistory.com/157 2. 고정 IP 할당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tawoo0&logNo=221606425141 [Linux] 리눅스(CentOS 7) 고정 IP 설정리눅스에서 고정으로 IP 주소를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터미널에서 고정 IP 설정 - 현재 IP ...blog.naver.. Ubuntu root 접속 안되는 이슈 (f. CentOS, Redhat) Ubuntu에서 다른 계정으로는 ssh 접속이 잘 되는데 root 계정으로는 안되는 이슈가 있었다.찾아보니 보안 상 root 계정으로의 로그인을 비활성화 해둔 설정이 default 였다.어차피 테스트 VM 이라 보안이 중요한 건 아니라서 해당 VM의 root 접속 허용을 아래와 같이 진행하였다. (Optional) root 계정 비밀번호 설정: root 계정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sudo passwd rootSSH 설정 파일 편집: sshd_config 파일을 열어 root 접속을 허용해야 한다.> sudo nano /etc/ssh/sshd_configPermitRootLogin 설정 변경: sshd_config 파일에서 PermitRootLo.. 이전 1 2 3 4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