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Experience/Windows (4) 썸네일형 리스트형 Windows Defender 비활성화 회사 업무 중 rust로 프로그램을 빌드할 때 실행 파일을 내장하는 과정이 있다.어느 순간 빌드 속도가 엄청 느려지더니 메모리가 Full 나서 버벅이는 현상이 나왔다.작업관리자를 통해 보니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프로세스와 "Secure System" 프로세스가 상단에 있어서 의심스러웠다."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은 속성을 살펴보니 Microsoft Defender 제품이었고,Defender가 실행 파일을 악성으로 간주하거나 검사를 하려고 하면 rust 프로그램 빌드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었다.그래서 Microsoft Defender를 꺼보고 빌드를 다시 해보았더니 버벅이는 증상 없이 rust 빌드가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었다.(근데.. windows cmd에서 네트워크 활성화/비활성화 windows 10, 11 에서 네트워크 활성화/비활성화 하는 방법으로 GUI 를 활용하는 방법과 CLI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GUI는 "시작>설정>..." 이렇게 마우스로 클릭 클릭 하면서 들어가야 되는데 귀찮아..cmd 창에서 키보드로 네트워크 상태를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다. 1. cmd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현재 네트워크 어댑터 확인netsh interface show interface 3. 특정 네트워크 내리기 (비활성화)netsh interface set interface "이더넷" admin=disabled"이더넷" 상태가 "연결됨" -> "연결 끊김" 으로 바뀌었다.(덕분에 나도 글쓰다가 tistory 접속이 끊어짐..) 4. 특정 네트워크 올리기 (활성화)netsh .. 전자 서명 관련 글 모음 (f. Trojan:Script/Wacatac.H!ml) 오늘 회사에서 프로그램을 테스트하던 중 갑자기Windows Defender에서 회사 프로그램을 바이러스로 잡는 현상이 발생했다.Trojan:Script/Wacatac.H!ml 이라고 하는데..동료분이 windows machine learning이 바이러스로 탐지하는 것 같다고 했다.그런데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언제는 통과되고 언제는 잡힌다니.. 아직 ml로 탐지하는 건 갈길이 멀어보인다. 무튼..시간이 좀 지나서 다시 프로그램을 실행해보니 virus로 안 잡고 다시 실행이 잘 되었다.덕분에 인터넷 서치를 1~2시간 해보았고Trojan 이슈랑 상관은 없지만 전자 서명 관련하여 괜찮은 글이 있어 기록해두고자 한다. ‘처음’ Windows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개발자들을 위하여네이버 애플리케이션의 .. 네트워크 연결 확인 (ping, tracert) 내 PC에서 특정 ip(8.8.8.8 - Google)로 네트워크 연결이 잘 되어 있는지는 아래 방법으로 알아볼 수 있다. 1. ping - 네트워크 연결이 되어 있는지 확인 ping 8.8.8.8 2. tracert - 어떤 경로로 네트워크가 연결되는지 확인 tracert 8.8.8.8 PS> 회사에서 타사 사내망으로 네트워크 연결이 잘 되는지 확인해볼 일이 있었다. 그런데 타사의 PC IP가 우리 회사의 IP와 겹치기 때문에 route 정보를 변경해주어야 했다. 아래는 관련된 명령어이다. 1) route print - route 정보 확인 route print 2) route add - 특정 IP의 route 정보 변경 route add [타겟 IP 주소] mask [서브넷 마스크] [VPN 게이트웨..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