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02)
1. 결측값을 한눈에 보여주는 missingno When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 중 어디가 얼만큼 비어있는지(결측값) 확인할 때 유용하다. missingno를 쓰면 데이터가 존재하는 부분은 검은색으로, 존재하지 않는 부분은 하얀색으로 표시된다. Result titanic_data는 train 데이터 뒤에 test 데이터를 덧붙인 데이터이기 때문에 위 그림에서 Survived 뒤쪽이 전부 하얗다. test 데이터는 모두 Survived 값이 없기 때문이다. Code import missingno missingno.matrix(titanic_data, figsize=(12,6)) Data Kaggle Titanic Data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17, 18) 방어 작용 이 글은 EBSi 박소현 선생님의 강의 [2024 수능개념] 완벽한 수능 준비!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17, 18강을 수강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질병 감염성 질병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체에 의해 나타나는 질병. 전염 O 감기, 독감, 홍역, 결핵 등 비감염성 질병 병원체 없이 나타나는 질병. 전염 X 고혈압, 당뇨병, 낫모양 적혈구 빈혈증(유전병), 헌팅턴 무도병(유전병) 등 병원체 세균(박테리아) 핵이 없는 단세포 원핵생물 (세균도 엄연한 생물!) 결핵, 세균성 폐렴, 탄저병 등 항생제로 치료 : 진핵 생물에는 없고 원핵 생물에만 있는 특징 이용 바이러스 생물적 특성 핵산(DNA, RNA - 유전물질)과 단백질 껍질로 구성 (숙주 세포 내에서) 물질대사와 증식이 일어남 유전 현상과 돌연변이(적응과 진화)가..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14, 15) 항상성 조절 이 글은 EBSi 박소현 선생님의 강의 [2024 수능개념] 완벽한 수능 준비!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14, 15강을 수강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항상성 체내외의 환경 변화에 대해 체온, 혈당량, 삼투압 등의 체내 환경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성질. 신경계와 내분비계(호르몬)의 작용에 의해 조절됨. 호르몬 내분비샘: 호르몬을 분비하는 조직 이자 뇌하수체 감상샘 외분비샘: 물질을 체외로 배출하는 조직 소화샘: 소화기관은 사실 외부임..!! 입 -> 위 -> 소장 -> 대장 -> 항문은 엄밀히 따지면 몸의 외부의 연장선. 침샘 땀샘 눈물샘 주요 호르몬 시상하부: 갑상샘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TRH) 뇌하수체 전엽: 갑상샘 자극 호르몬 (TSH) 뇌하수체 후엽: 항이뇨 호르몬 (ADH) 갑상샘: 티록신 이자..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13) 신경계 이 글은 EBSi 박소현 선생님의 강의 [2024 수능개념] 완벽한 수능 준비!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13강을 수강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신경계 중추 신경계 뇌 대뇌: 고등 정신 활동 담당 소뇌: 몸의 균형 유지 간뇌 시상: 척수나 연수로부터 오는 감각 신호를 대뇌로 전달 시상하부: 자율 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조절 중추.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뇌줄기 중간뇌: 눈 조절 뇌교 연수: 심장 박동, 호흡, 소화 등을 조절. 대뇌와 연결되는 대부분의 신경이 교차되는 장소 (왼손 우뇌, 오른손 좌뇌) 척수: 뇌와 말초 신경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 무릎 반사, 회피 반사 등의 중추 말초 신경계 구심성 신경 (감각) 원심성 신경 (운동) 체성 신경계 자율 신경계 교감 신경: 싸움/도망 반응 (..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11) 근육의 수축 이 글은 EBSi 박소현 선생님의 강의 [2024 수능개념] 완벽한 수능 준비!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11강을 수강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1. 근육의 수축 골격근의 구조 마이오신+액틴 -> 근육 원섬유 -> 근육 섬유(다핵성 세포) -> 근육 섬유 다발 -> 골격근 근육 섬유가 기준점임. 세포 수준이라서. I대(명대), A대(암대), H대 로 나뉨 골격근의 수축 원리 활주설: 액틴 필라멘트가 마이오신 사이를 미끄러지듯 움직여 근육이 수축된다는 이론 근수축 과정에서 ATP 소모 근수축시 겹치는 부분은 늘어나나 액틴 필라멘트와 마이오신 필라멘트 자체의 길이는 변하지 않음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9, 10) 흥분의 전도와 전달 이 글은 EBSi 박소현 선생님의 강의 [2024 수능개념] 완벽한 수능 준비!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9, 10강을 수강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1. 뉴런 뉴런의 구조 신경 세포체 가지 돌기 축삭 돌기 말이집 랑비에 결절 뉴런의 종류 말이집 유무 말이집 신경: 뉴런의 축삭 돌기가 말이집에 싸임, 흥분 전달 속도가 빠름, 랑비에 결절에서 도약 전도 발생 민말이집 신경: 뉴런의 축삭 돌기에 말이집이 없음, 흥분 전달 속도가 느림 기능에 따른 구분 감각 뉴런(구심성 뉴런): 감각기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연합 뉴런에 전달 연합 뉴런: 뇌, 척수와 같은 중추 신경을 이룸, 감각 뉴런과 운동 뉴런을 연결하고 정보 처리를 담당 운동 뉴런(원심성 뉴런): 연합 뉴런의 명령을 근육 등의 반응기로 전달 2. 흥분의 전도 분극:..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8) 생물 다양성 이 글은 EBSi 박소현 선생님의 강의 [2024 수능개념] 완벽한 수능 준비!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8강을 수강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1. 생물 다양성 유전적 다양성: 같은 종 내에서 다양한 형질이 나타나는 것 종 다양성: 한 지역 내 종의 수가 다양한 정도 생태계 다양성: 생태계의 다양함 2. 생물 다양성 보전 대책 생물 다양성의 위협 요인 서식지 파괴 서식지 단편화 외래종 도입 불법 포획, 남획 환경 오염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대책 개인적 수준: 에너지 절약, 자원 재활용 등 사회적 수준: NGO 활동 등 국가적 수준: 관련 법률 제정, 국립 공원 지정, 멸종 위기종 복원 사업 등 국제적 수준: 다양한 국제 협약
[2024 수능개념 생명과학1] (7)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 이 글은 EBSi 박소현 선생님의 강의 [2024 수능개념] 완벽한 수능 준비!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7강을 수강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1. 물질의 생산과 소비 총생산량 = 호흡량 + 순생산량(피식량 + 고사/낙엽량 + 생장량) 생태계 에너지의 근원은 태양의 빛 에너지 생산자가 하는 일은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바꾸는 일 일반적으로 영양 단계가 높아질수록 에너지 효율은 증가 보통 식물이 하루종일 햇빛 받는 것보단 동물이 음식을 섭취하는 게 더 효율적임 2. 중요 원소들 탄수화물: C, H, O 지질: C, H, O 단백질: C, H, O, N 핵산: C, H, O, N, P C는 유기물의 골격을 형성을 담당 N은 물질대사의 효소 역할과 유전 정보 저장을 담당 3. 질소의 순환 질소 고정 : N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