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02)
c# global :: namespace C# 프로그램 작성 중 Nuget 패키지 등 3rd party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나의 경우 Caliburn을 사용하기 때문에, Nuget 으로 Caliburn 을 다운로드받아 프로젝트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control + . 을 이용하여 using 문을 추가하려고 보니, 추가가 되기 하는데 자꾸 using global::Caliburn.Micro 라고 추가되는 것이었다. global:: 이 마음에 안들어서 지워버리면 해당 패키지를 못 찾는다는 에러가 발생하였다. 이유가 무엇인고 하니, 나의 프로젝트 내부에서 Caliburn 이란 이름을 이미 사용중인 게 원인이었다. 나는 Caliburn과 관련된 작업들을 한 곳에 모아두기 위해 Caliburn이란 이름의 폴더를 추가하였는데, 이것..
WPF 코드 상에서 Event, Command 발생시키기 WPF의 MVVM 모델에선 View에서 UIElement를 만들고 ViewModel의 Property들과 Binding을 한다. 특정 행동을 취하고 싶을 땐 Command 객체를 ViewModel에서 생성하고, 이 Command를 View에 바인딩시킬 수 있다. ViewModel에서 View에게 어떤 행동을 시키고자 할 때 나는 Action 객체를 ViewModel에서 만들고 View의 특정 행동과 이 Action 객체를 바인딩시켜준다. (ViewModel에서 Action을 통해 View를 건드리는 게 옳은 방법인지 모르겠으나, 초보 개발자인 나는 일단 이런 식으로 구현한다..) 보통의 경우 위와 같이 Binding을 통해 View-ViewModel 간의 데이터 통신을 해결하였다. 오늘 업무 중 위와 같..
DLL 모듈화 이전 Winform 프로젝트에서 C++로 구현된 기능을 사용해야 할 일이 있었다. 당시의 사용방법은 C++ 로 만들어진 dll을 C#으로 감싼 후, 이 wrapper 를 통해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럭저럭 프로젝트가 마무리되었고, 한동안 해당 코드를 건드릴 일이 없었다. 최근 WPF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예전에 만들어두었던 Wrapper 를 사용해야 할 일이 생겼다. 그냥 가져다 쓰면 되겠거니 했는데... 예전의 그 Wrapper는 Winform 프로젝트에 너무 종속되어 있었다. Winform과 WPF의 차이라기 보다는, namespace가 예전 프로젝트와 너무 얽혀있는 게 문제였다. 애초에 Dll Wrapper를 만들 때 특정 프로젝트 내에서 만들지 말고 따로 빼내어서 구현했더라면..
정다각형 그릴 때 주의사항 WPF의 Polygon 클래스를 사용하여 정다각형을 그리는 작업을 하던 중 이상하게 정다각형의 모습이 내가 원하던 모습과 미묘하게 다른 현상을 보았다. 나는 정다각형을 그리기 위해 각도를 0도부터 [ 360 / (정다각형의 면의 수) ] 씩 증가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정오각형의 경우, "Polygon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직선" 과 "Polygon의 중심점과 Polygon의 첫 점을 지나는 직선" 간의 각도가 0도이다. Polygon의 두번째 점의 경우 각도가 360 / 5 = 72 도 이고 세번째 점의 경우 144도, 네번째 점의 경우 216도, 다섯번째 점의 경우 288도 이다. 이렇게 각도를 직접 계산할 경우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내가 했던 실수이기도 하다) 바로 데이터 타..
Telerik RadTabbedView 에서 첫 Tab화면이 안나올 때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기술 스택은 WPF + Telerik UI for WPF + Caliburn Micro + Ninject 이다. 지금까진 CM에서 제공해주는 DisplayRootViewFor() 함수를 사용하여 UI를 로딩하였다. 이 방식은 한가지 단점이 있는데, Telerik의 RadTabbedWindow 화면을 감싸는 또 하나의 컨테이너가 생성된다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타이틀바가 2개가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DisplayRootViewFor() 함수를 사용하는 대신 직접 MainView와 MainViewModel을 바인딩시키고 MainView의 show()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직접 View와 ViewModel을 바인딩시키려면 ViewModelBinde..
C# data binding 시 TreeView 에서 depth가 2 이상일 때.. (ItemsSource를 사용하려면 항목 컬렉션이 비어 있어야 합니다 Error 대처법) TreeView에서 표현하고 싶은 데이터가 단순한 리스트라면, ViewModel에서 ObservableCollection 프로퍼티를 만들고 TreeView의 ItemsSource 속성에 방금 만든 ObservableCollection을 바인딩하면 된다. 가령, ViewModel에서 public ObservableCollection MyCollection; 라고 선언하고 객체를 생성해 둔 다음에 View에서 라고 하면 된다. 하지만 만약 MyCollection의 원소 타입인 MyData가 ObservableCollection 이고, 이것 또한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원한다면 우리는 TreeView의 depth가 2 인 모습을 구현해야 한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게 ItemTemplate과 Hierarchi..
Telerik Winform에서 border의 색깔이 도저히 안 없어질때.. RadPanel 의 Border 색깔을 지우고 싶었는데 이짓 저짓 다 해보아도 사라지지 않았다. BorderThickness, BorderHightLightThickness, BorderColor, BorderHightLight 다 건드려봤지만 없어지지 않았다. 결국 찾은 방법은 RadPanel의 Telerik 속성에 들어간 다음, Element Hierarchy에서 BorderElement, 혹은 BorderPrimitive의 속성을 찾아서 ShouldPaint 속성을 false로 설정하여 해결하였다. 누군가가 나와 같은 고통을 받고 있다면 그 객체의 Hierarchy에서 수정할 수 있는 녀석들이 있는지 찾아보자.
Winform vs WPF (라 쓰고 WPF 짱 이라고 읽는다) 인터넷 서칭을 통해서 정리해본 Winform vs WPF 사실 거의 WPF로 마음이 기운다. winform 1. 폐기된 마차 2. 많은 문서 (WPF도 이젠 어느정도 쌓임...) 3. 배우기 쉽다 4. .NET 1.0 부터 지원 5. 버튼, 라벨등이 모두 Windows의 Window 객체 WPF 1. 훨씬 유연하다. (바인딩 메커니즘을 이용한 MVVM패턴 덕분) 유연성이 뛰어나 새 컨트롤 작성 없이 할 수 있는 것의 폭이 넓음 2. 럭셔리카 3. 생산성이 훨씬 높다. 4.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시각적으로 뛰어나며 차별화된 사용자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해줌 5. 태그 언어인 XAML을 사용하므로 디자이너가 훨씬 더 쉽게 응용 프로그램을 빌드할 수 있음 => GUI를 만들거나 편집하기 쉽게 해줌 6. 레이아웃..